열심히 살아나갈 사람
728x90

Programmers_Level_2

2023.12.20 - [IT] - [Programmers][Java]다음 큰 숫자


🏁 Programmers_Level_2
📖 다음 큰 숫자

❔ 문제 설명

자연수 n이 주어졌을 때, n의 다음 큰 숫자는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.

  • 조건 1. n의 다음 큰 숫자는 n보다 큰 자연수입니다.
  • 조건 2. n의 다음 큰 숫자와 n은 2진수로 변환했을 때 1의 개수가 같습니다.
  • 조건 3. n의 다음 큰 숫자는 조건 1, 2를 만족하는 수 중 가장 작은 수입니다.

예를 들어서 78(1001110)의 다음 큰 숫자는 83(1010011)입니다.
자연수 n이 매개변수로 주어질 때, n의 다음 큰 숫자를 return 하는 solution 함수를 완성해 주세요.


🚫 제한 사항

⁕ n은 1,000,000 이하의 자연수입니다.

✅ 입출력 예

n result
78 83
15 23

📃 입출력 예 설명

입출력 예 #1
문제 예시와 같습니다.


입출력 예 #2
15(1111)의 다음 큰 숫자는 23(10111)입니다.


💻 내 작성 코드(1)

class Solution {
    public int solution(int n) {
        int bc = count(Integer.toBinaryString(n));
        while(true){
            if(count(Integer.toBinaryString(++n)) == bc) break;
        }
        
        return n;
    }
    
    public int count(String binary){
        int c = 0;
        for(char ch : binary.toCharArray()) if(ch == '1') c++;
        return c;
    }
    
}

이 코드는 count 함수를 사용하여 주어진 숫자를 이진수로 변환했을 때 1의 개수를 반환받고, n값을 1씩 증가시키면서 조건을 충족하는 수를 찾아 반환하는 방식으로 작동합니다.

그러나 이 방식은 n이 매우 큰 값일 경우 n값을 1씩 증가시키면서 조건을 확인하는 과정이 시간이 오래 걸릴 수 있습니다. 따라서 이를 개선하기 위해 Integer.bitCount(n) 함수를 사용하여 코드를 최적화해 보았습니다.


💻 내 작성 코드(2)

class Solution {
    public int solution(int n) {
        int bc = Integer.bitCount(n);
        while(true){
            if(Integer.bitCount(++n) == bc) break;
        }
        return n;
    }
}

Integer.bitCount(n)는 Java에서 제공하는 함수로, n을 이진수로 변환했을 때 1의 개수를 반환해 줍니다. 이를 이용하면 이진수 변환과 1의 개수 계산을 한 번에 처리할 수 있어, 실행 시간을 단축시킬 수 있습니다.

728x90
profile

열심히 살아나갈 사람

@쿼리_

포스팅이 좋았다면 "좋아요❤️" 또는 "구독👍🏻" 해주세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