열심히 살아나갈 사람
Published 2023. 3. 24. 18:17
그래프 (Graph) Data Structure
728x90

1. 그래프(Graph) 이해하기

그래프는 여러 상황을 모델링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로, 정점(Vertex)과 간선(Edge)으로 구성된 복잡한 네트워크를 표현하는 자료구조입니다.

2. 그래프의 종류

그래프는 크게 무방향 그래프(Undirected Graph)와 방향 그래프(Directed Graph), 그리고 가중 그래프(Weighted Graph)로 나뉩니다.

  • 무방향 그래프: 간선에 방향성이 없는 그래프로, 간선으로 연결된 두 정점은 서로 동등한 관계를 가집니다.
  • 방향 그래프: 간선에 방향성이 있는 그래프로, 간선으로 연결된 두 정점은 시작점과 끝점의 관계를 가집니다.
  • 가중 그래프: 간선에 가중치가 부여된 그래프로, 각 간선은 특정한 값을 가지며 이는 경로의 비용, 길이 등 다양한 것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.

3. 그래프의 표현

그래프는 주로 인접 행렬(Adjacency Matrix)과 인접 리스트(Adjacency List)로 표현됩니다.

  • 인접 행렬: 2차원 배열을 사용하여 그래프를 표현하는 방식으로, 각 배열의 항목은 두 정점 간의 연결 상태를 나타냅니다.
  • 인접 리스트: 연결 리스트를 사용하여 그래프를 표현하는 방식으로, 각 리스트의 항목은 하나의 정점과 연결된 다른 정점들을 나타냅니다.

4. 그래프의 활용

그래프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. 컴퓨터 네트워크에서는 각 컴퓨터(정점) 간의 연결(간선)을, 지도에서는 도시(정점) 간의 도로(간선)를 그래프로 표현합니다.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조금 어려울 수 있지만, 실제 생활에서 여러 가지 예시를 통해 그래프를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.

  1. 소셜 네트워크: 소셜 네트워크는 그래프로 표현하기 좋은 예시입니다. 각 사용자는 정점을, 친구 관계는 간선으로 표현할 수 있습니다. 이렇게 그래프를 사용하면 누구와 누구가 친구인지, 어떤 사람들이 가장 많은 친구를 가지고 있는지 등의 정보를 쉽게 파악할 수 있습니다.
  2. 지도: 지도도 그래프로 표현할 수 있습니다. 각 도시는 정점으로, 도로는 간선으로 표현합니다. 이 경우 간선에는 도로의 길이나 통행 시간 등의 가중치를 부여할 수 있습니다. 이렇게 그래프를 사용하면 가장 빠른 길을 찾는 등의 문제를 풀 수 있습니다.
  3. : 웹도 그래프로 표현할 수 있습니다. 각 웹 페이지는 정점으로, 링크는 간선으로 표현합니다. 이렇게 그래프를 사용하면 어떤 웹 페이지로부터 다른 웹 페이지로 어떻게 이동할 수 있는지, 어떤 웹 페이지가 가장 많은 링크를 가지고 있는지 등의 정보를 쉽게 파악할 수 있습니다.

이렇게 생각해보면, 우리 주변에는 그래프로 표현할 수 있는 많은 예시들이 있습니다. 이를 통해 그래프가 어떻게 구성되고 어떻게 사용될 수 있는지 이해하는 데 도움이 될 것입니다.

5. 그래프 알고리즘

그래프에서는 다양한 알고리즘이 사용됩니다. 최단 경로 알고리즘, 신장 트리 알고리즘, 플로우 알고리즘 등이 대표적입니다. 또한 깊이 우선 탐색(DFS)과 너비 우선 탐색(BFS) 등의 탐색 알고리즘을 이용해 그래프를 구조적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.

그래프는 이처럼 다양한 분야에서 활용되며, 그래프 이론과 알고리즘은 복잡한 문제를 풀기 위한 중요한 도구로서 연구되고 있습니다.

728x90

'Data Structur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시간복잡도  (0) 2023.12.07
해시 테이블(Hash Table)  (1) 2023.12.06
자료구조 (Data Structure)  (0) 2023.03.22
트리 (Tree)  (0) 2023.03.20
큐 (Queue)  (0) 2023.03.20
profile

열심히 살아나갈 사람

@쿼리_

포스팅이 좋았다면 "좋아요❤️" 또는 "구독👍🏻" 해주세요!